기타 스포츠
다음은 특정 스포츠에 대한 촬영 팁 및 권장 설정이며, 권장 기본 설정과의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합니다.
수영
 | 설정 항목 | 설정값 | 
|---|---|
| 초점 모드 | AF-C (연속 AF) | 
| [AF-C 우선순위 설정] | [균형 강조] | 
| [교차용 AF 레벨] | [2] | 
| [속도변화기반 AF추적] | [표준] | 
[ 초점 영역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확장 스팟] [스팟: M]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| [가로/세로AF영역전환] | [AF 포인트만] | 
[ AF 시 피사체 인식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[ 인식 대상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사람] | 
[ 인식 프레임 표시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수영 선수가 물 속에서 잠영하는 수영에서 [교차용 AF 레벨]을 [2]로 약간 고정되도록 설정하면 배경의 초점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.
스타트대에서 수영 선수가 출발하는 순간을 추적 촬영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용자 정의 설정을 권장합니다.
[
AF 시 피사체 인식]이 [켬]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추적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고, 수영 선수가 얼굴이 보이지 않게 몸을 숙인 상태이며 그 옆에 얼굴이 보이는 심판이 서 있는 경우, 추적 프레임이 피사체 인식 프레임으로 전환되어 심판의 얼굴로 자동 이동할 수 있습니다. 
이러한 상황에서 수영 선수를 안정적으로 추적하려면, [
사용자 정의 키/다이얼 설정]을 사용하여 원하는 키에 [입력 중 인식 끔] 기능을 할당합니다. 그런 다음, 선수가 스타트대에서 출발할 때 그 옆에 심판이 보이는 순간에, [입력 중 인식 끔]이 할당된 키를 누릅니다. 이렇게 하면 [추적: 스팟 M] 등의 설정으로 수영 선수의 추적이 시작되고, 출발 순간을 원하는 대로 포착할 수 있습니다.

수영 선수가 물속에 있는 동안 [입력 중 인식 끔]에 할당된 키에서 손을 떼면, 선수의 눈이 보이는 즉시 카메라는 눈에 초점을 맞춥니다.

다이빙 경기를 정면에서 촬영할 때는 물보라가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 물보라가 많이 생기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초점을 유지하려면, [속도변화기반 AF추적]을 [안정]으로 설정할 것을 권장합니다.

자전거 경주
 | 설정 항목 | 설정값 | 
|---|---|
| 초점 모드 | AF-C (연속 AF) | 
| [AF-C 우선순위 설정] | [균형 강조] | 
| [교차용 AF 레벨] | [3(표준)] | 
| [속도변화기반 AF추적] | [표준] | 
[ 초점 영역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: 스팟 M] [스팟: M] [확장 스팟]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| [가로/세로AF영역전환] | [AF 포인트만] | 
[ AF 시 피사체 인식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[ 인식 대상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사람] | 
[ 인식 대상] → [사람] → 세부 설정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 전환 범위]: [3(표준)] | 
[ 인식 프레임 표시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- [추적: 스팟 M]
라이딩하는 한 선수만 촬영하는 상황에서는 [
AF 시 피사체 인식]을 [켬]으로,  [
초점 영역]을 [추적: 스팟 M]으로 설정하여 의도한 선수를 추적하는 것이 좋습니다.
추적 기능이 피사체를 추적하는 동안 얼굴, 눈 등이 검출되면 추적 프레임이 피사체 인식 프레임으로 전환되어 자동으로 얼굴, 눈 등으로 이동합니다.
선수를 추적하는 동안 촬영 프레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다른 선수 및 배경과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촬영할 수 있습니다.
  - [스팟: M]/[확장 스팟]
여러 대의 차량들이 그룹으로 움직이는 장면에서 더욱 안정적인 초점을 위한 권장 설정은 [스팟: M] 또는 [확장 스팟]입니다.
[교차용 AF 레벨]을 [3(표준)]으로 설정하면 다른 선수들이나 장애물에 초점이 모일 가능성이 줄어들어 안정적인 추적이 가능합니다. 
양궁
 | 설정 항목 | 설정값 | 
|---|---|
| 초점 모드 | AF-C (연속 AF) | 
| [AF-C 우선순위 설정] | [균형 강조] | 
| [교차용 AF 레벨] | [3(표준)] | 
| [속도변화기반 AF추적] | [표준] | 
[ 초점 영역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: 스팟 M] [스팟: M] [확장 스팟]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| [가로/세로AF영역전환] | [AF 포인트만] | 
[ AF 시 피사체 인식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[ 인식 대상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사람] | 
[ 인식 대상] → [사람] → 세부 설정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 전환 범위]: [3(표준)] | 
[ 인식 프레임 표시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- [추적: 스팟 M]
한 명의 선수를 촬영하려는 장면에서 [
AF 시 피사체 인식]을 [켬]으로,  [
초점 영역]을 유연하게 구도를 잡을 수 있는 [추적: 스팟 M]으로 설정하여 의도한 선수를 추적하는 것이 좋습니다.
추적 기능이 피사체를 추적하는 동안 얼굴, 눈 등이 검출되면 추적 프레임이 피사체 인식 프레임으로 전환되어 자동으로 얼굴, 눈 등으로 이동합니다.
선수를 추적하는 동안 촬영 프레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다른 선수 및 배경과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촬영할 수 있습니다.
  - [스팟: M]/[확장 스팟]
추적 프레임이 의도한 선수가 아닌 다른 피사체나 물체로 이동하는 경우 [
초점 영역] 설정을 [추적]에서 [스팟: M]으로 또는 [확장 스팟]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다용도 설정 [스팟: M]을 권장하지만 경마에서 말이 밀집되어 있는 장면과 같은 경우에는 [확장 스팟]으로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. 
경마
 | 설정 항목 | 설정값 | 
|---|---|
| 초점 모드 | AF-C (연속 AF) | 
| [AF-C 우선순위 설정] | [균형 강조] | 
| [교차용 AF 레벨] | [3(표준)] | 
| [속도변화기반 AF추적] | [표준] | 
[ 초점 영역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: 스팟 M] [스팟: M] [확장 스팟]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| [가로/세로AF영역전환] | [AF 포인트만] | 
[ AF 시 피사체 인식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| 기수 촬영 시 [  인식 대상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사람] | 
| 기수 촬영 시 [  인식 대상] → [사람] → 세부 설정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 전환 범위]: [3(표준)] | 
| 말 촬영 시 [  인식 대상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동물] | 
| 말 촬영 시 [  인식 대상] → [동물] → 세부 설정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 전환 범위]: [3(표준)] [추적 지속성 레벨]: [3(표준)] [인식 감도]: [3(표준)] [인식 부위]: [눈] 또는 [눈/머리/몸통]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[ 인식 프레임 표시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- [추적: 스팟 M]
한 명의 기수 및/또는 말을 촬영하려는 장면에서 [
AF 시 피사체 인식]을 [켬]으로,  [
초점 영역]을 유연하게 구도를 잡을 수 있는 [추적: 스팟 M]으로 설정하여 피사체를 추적하는 것이 좋습니다.
추적 기능이 피사체를 추적하는 동안 얼굴, 눈 등이 검출되면 추적 프레임이 피사체 인식 프레임으로 전환되어 자동으로 얼굴, 눈 등으로 이동합니다.
피사체를 추적하는 동안 촬영 프레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다른 피사체 및 배경과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촬영할 수 있습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
인식 대상]:[사람]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
인식 대상]:[동물] - [스팟: M]/[확장 스팟]
추적 프레임이 의도한 피사체가 아닌 다른 피사체나 물체로 이동하는 경우 [
초점 영역] 설정을 [추적]에서 [스팟: M]으로 또는 [확장 스팟]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다용도 설정 [스팟: M]을 권장하지만 경마에서 말이 밀집되어 있는 장면과 같은 경우에는 [확장 스팟]으로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. 
스피드보트 경주
 | 설정 항목 | 설정값 | 
|---|---|
| 초점 모드 | AF-C (연속 AF) | 
| [AF-C 우선순위 설정] | [균형 강조] | 
| [교차용 AF 레벨] | [3(표준)] | 
| [속도변화기반 AF추적] | [표준] | 
[ 초점 영역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: 스팟 M] [스팟: M] [확장 스팟]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| [가로/세로AF영역전환] | [AF 포인트만] | 
[ AF 시 피사체 인식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[ 인식 대상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사람] | 
[ 인식 대상] → [사람] → 세부 설정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 전환 범위]: [3(표준)] | 
[ 인식 프레임 표시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- [추적: 스팟 M]
하나의 보트를 촬영하려면 [
AF 시 피사체 인식]을  [켬]으로 설정하고  [
초점 영역]을 [추적: 스팟 M]으로 설정하여 의도한 레이서를 추적하는 것이 좋습니다.
추적 기능이 피사체를 추적하는 동안 얼굴, 눈 등이 검출되면 추적 프레임이 피사체 인식 프레임으로 전환되어 자동으로 얼굴, 눈 등으로 이동합니다.
선수를 추적하는 동안 촬영 프레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다른 선수 및 배경과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촬영할 수 있습니다.
추적을 시작할 초점 영역 근처에 심판이나 관중 등 선수 이외의 피사체가 있는 경우 정확한 초점 위치를 선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.
  - [스팟: M]/[확장 스팟]
추적 프레임이 의도한 선수가 아닌 다른 피사체나 물체로 이동하는 경우 [
초점 영역] 설정을 [추적]에서 [스팟: M]으로 또는 [확장 스팟]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[교차용 AF 레벨]을 [3(표준)]으로 설정하면 다른 선수들이나 장애물에 초점이 모일 가능성이 줄어들어 안정적인 추적이 가능합니다. 
카누
 | 설정 항목 | 설정값 | 
|---|---|
| 초점 모드 | AF-C (연속 AF) | 
| [AF-C 우선순위 설정] | [균형 강조] | 
| [교차용 AF 레벨] | [2] | 
| [속도변화기반 AF추적] | [표준] | 
[ 초점 영역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: 스팟 M] [스팟: M] [확장 스팟]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| [가로/세로AF영역전환] | [AF 포인트만] | 
[ AF 시 피사체 인식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[ 인식 대상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사람] | 
[ 인식 대상] → [사람] → 세부 설정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 전환 범위]: [3(표준)] | 
[ 인식 프레임 표시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- [추적: 스팟 M]
한 명의 선수를 계속 추적하려는 장면에서 [
AF 시 피사체 인식]을 [켬]으로,  [
초점 영역]을 [추적: 스팟 M]으로 설정하여 의도한 선수를 추적하는 것이 좋습니다.
추적 기능이 피사체를 추적하는 동안 얼굴, 눈 등이 검출되면 추적 프레임이 피사체 인식 프레임으로 전환되어 자동으로 얼굴, 눈 등으로 이동합니다.
선수를 추적하는 동안 촬영 프레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다른 선수 및 배경과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촬영할 수 있습니다.[스팟]을(를) 사용하거나 셔터 버튼을 다시 반쯤 누르면 계속해서 이어지는 다양한 피사체들을 빠르게 촬영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 
[입력 중 추적 켬] 또는 [촬영 설정 등록] (AF 켬 및 추적으로 설정)을(를) 사용자 정의 키에 할당하면 추적 기능의 켬 또는 끔을 빠르게 전환할 수 있습니다.또한 다음의 항목을 참조하십시오.
 - [스팟: M]/[확장 스팟]
추적 프레임이 의도한 선수가 아닌 다른 피사체나 물체로 이동하는 경우 [
초점 영역] 설정을 [추적]에서 [스팟: M]으로 또는 [확장 스팟]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[교차용 AF 레벨]을 [3(표준)]으로 설정하면 장애물에 초점이 모일 가능성이 줄어들어 안정적인 추적이 가능합니다. 
승마 경기
 | 설정 항목 | 설정값 | 
|---|---|
| 초점 모드 | AF-C (연속 AF) | 
| [AF-C 우선순위 설정] | [균형 강조] | 
| [교차용 AF 레벨] | [2] | 
| [속도변화기반 AF추적] | [표준] | 
[ 초점 영역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: 스팟 M] [스팟: M] [확장 스팟]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| [가로/세로AF영역전환] | [AF 포인트만] | 
[ AF 시 피사체 인식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[ 인식 대상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사람] | 
[ 인식 대상] → [사람] → 세부 설정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 전환 범위]: [3(표준)] | 
[ 인식 프레임 표시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- [추적: 스팟 M]
한 명의 선수를 계속 추적하려는 장면에서 [
AF 시 피사체 인식]을 [켬]으로,  [
초점 영역]을 [추적: 스팟 M]으로 설정하여 의도한 선수를 추적하는 것이 좋습니다.
추적 기능이 피사체를 추적하는 동안 얼굴, 눈 등이 검출되면 추적 프레임이 피사체 인식 프레임으로 전환되어 자동으로 얼굴, 눈 등으로 이동합니다.
선수를 추적하는 동안 촬영 프레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다른 선수 및 배경과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촬영할 수 있습니다.[스팟]을(를) 사용하거나 셔터 버튼을 다시 반쯤 누르면 계속해서 이어지는 다양한 피사체들을 빠르게 촬영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 
[입력 중 추적 켬] 또는 [촬영 설정 등록] (AF 켬 및 추적으로 설정)을(를) 사용자 정의 키에 할당하면 추적 기능의 켬 또는 끔을 빠르게 전환할 수 있습니다.또한 다음의 항목을 참조하십시오.
 - [스팟: M]/[확장 스팟]
추적 프레임이 의도한 선수가 아닌 다른 피사체나 물체로 이동하는 경우 [
초점 영역] 설정을 [추적]에서 [스팟: M]으로 또는 [확장 스팟]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[교차용 AF 레벨]을 [3(표준)]으로 설정하면 장애물에 초점이 모일 가능성이 줄어들어 안정적인 추적이 가능합니다. 
유도
 | 설정 항목 | 설정값 | 
|---|---|
| 초점 모드 | AF-C (연속 AF) | 
| [AF-C 우선순위 설정] | [균형 강조] | 
| [교차용 AF 레벨] | [3(표준)] | 
| [속도변화기반 AF추적] | [표준] | 
[ 초점 영역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스팟: M] [확장 스팟] [추적: 스팟 M]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| [가로/세로AF영역전환] | [AF 포인트만] | 
[ AF 시 피사체 인식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[ 인식 대상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사람] | 
[ 인식 대상] → [사람] → 세부 설정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 전환 범위]: [2] | 
[ 인식 프레임 표시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- [스팟: M]/[확장 스팟]
추적 프레임이 의도한 선수가 아닌 다른 피사체나 물체로 이동하는 경우 [
초점 영역] 설정을 [추적]에서 [스팟: M]으로 또는 [확장 스팟]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가장 다용도 설정은 [
초점 영역]의 경우 [스팟: M]이며 [교차용 AF 레벨]의 경우 [3(표준)]입니다.
선수들 중 한 명에게만 초점을 맞추려면 [
초점 영역]을 스팟 지향 설정 [확장 스팟]으로, [교차용 AF 레벨] 반응성은 어느 정도 고정된 설정 [2]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한 다음의 항목을 참조하십시오.
 - [추적: 스팟 M]
선수가 빠르게 움직이는 스포츠의 경우 [
AF 시 피사체 인식]을  [켬]으로 설정하고  [
초점 영역]을 [추적: 스팟 M]으로 설정하여 의도한 선수를 추적하는 것이 좋습니다.
추적 기능이 피사체를 추적하는 동안 얼굴, 눈 등이 검출되면 추적 프레임이 피사체 인식 프레임으로 전환되어 자동으로 얼굴, 눈 등으로 이동합니다.
선수를 추적하는 동안 촬영 프레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다른 선수 및 배경과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촬영할 수 있습니다.
추적을 시작할 초점 영역 근처에 심판이나 관중 등 선수 이외의 피사체가 있는 경우 정확한 초점 위치를 선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. 
검도
 | 설정 항목 | 설정값 | 
|---|---|
| 초점 모드 | AF-C (연속 AF) | 
| [AF-C 우선순위 설정] | [균형 강조] | 
| [교차용 AF 레벨] | [3(표준)] | 
| [속도변화기반 AF추적] | [표준] | 
[ 초점 영역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스팟: M] [확장 스팟] [추적: 스팟 M]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| [가로/세로AF영역전환] | [AF 포인트만] | 
[ AF 시 피사체 인식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[ 인식 대상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사람] | 
[ 인식 대상] → [사람] → 세부 설정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 전환 범위]: [3(표준)] | 
[ 인식 프레임 표시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- [스팟: M]/[확장 스팟]
추적 프레임이 의도한 선수가 아닌 다른 피사체나 물체로 이동하는 경우 [
초점 영역] 설정을 [추적]에서 [스팟: M]으로 또는 [확장 스팟]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가장 다용도 설정은 [
초점 영역]의 경우 [스팟: M]이며 [교차용 AF 레벨]의 경우 [3(표준)]입니다.
선수들 중 한 명에게만 초점을 맞추려면 [
초점 영역]을 스팟 지향 설정 [확장 스팟]으로, [교차용 AF 레벨] 반응성은 어느 정도 고정된 설정 [2]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한 다음의 항목을 참조하십시오.
 - [추적: 스팟 M]
선수가 빠르게 움직이는 스포츠의 경우 [
AF 시 피사체 인식]을  [켬]으로 설정하고  [
초점 영역]을 [추적: 스팟 M]으로 설정하여 의도한 선수를 추적하는 것이 좋습니다.
추적 기능이 피사체를 추적하는 동안 얼굴, 눈 등이 검출되면 추적 프레임이 피사체 인식 프레임으로 전환되어 자동으로 얼굴, 눈 등으로 이동합니다.
선수를 추적하는 동안 촬영 프레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다른 선수 및 배경과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촬영할 수 있습니다.
추적을 시작할 초점 영역 근처에 심판이나 관중 등 선수 이외의 피사체가 있는 경우 정확한 초점 위치를 선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. 
펜싱
 | 설정 항목 | 설정값 | 
|---|---|
| 초점 모드 | AF-C (연속 AF) | 
| [AF-C 우선순위 설정] | [균형 강조] | 
| [교차용 AF 레벨] | [3(표준)] | 
| [속도변화기반 AF추적] | [표준] | 
[ 초점 영역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: 스팟 M] [스팟: M] [확장 스팟]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| [가로/세로AF영역전환] | [AF 포인트만] | 
[ AF 시 피사체 인식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[ 인식 대상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사람] | 
[ 인식 대상] → [사람] → 세부 설정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 전환 범위]: [3(표준)] | 
[ 인식 프레임 표시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- [추적: 스팟 M]
단일 피사체를 추적하고자 할 때 초점 영역을 [추적: 스팟 M](으)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
  - [스팟: M]/[확장 스팟]
추적 프레임이 의도한 선수가 아닌 다른 피사체나 물체로 이동하는 경우 [
초점 영역] 설정을 [추적]에서 [스팟: M]으로 또는 [확장 스팟]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펜싱 선수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없고 초점 영역이 쉽게 벗어나는 경우 [교차용 AF 레벨]을 어느 정도 고정된 설정 [2]으로 설정하면 펜싱 선수를 안정적으로 계속 추적할 수 있습니다.
특정 펜싱 선수에게 초점을 맞추려면 [확장 스팟]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 
체조, 리듬 체조
 | 설정 항목 | 설정값 | 
|---|---|
| 초점 모드 | AF-C (연속 AF) | 
| [AF-C 우선순위 설정] | [균형 강조] | 
| [교차용 AF 레벨] | [3(표준)] | 
| [속도변화기반 AF추적] | [표준] | 
[ 초점 영역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: 스팟 M] [스팟: M] [확장 스팟]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| [가로/세로AF영역전환] | [AF 포인트만] | 
[ AF 시 피사체 인식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[ 인식 대상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사람] | 
[ 인식 대상] → [사람] → 세부 설정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 전환 범위]: [3(표준)], [4] 또는 [5(넓게)] | 
[ 인식 프레임 표시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- [추적: 스팟 M]
선수가 빠르게 움직이는 스포츠의 경우 [
AF 시 피사체 인식]을  [켬]으로 설정하고  [
초점 영역]을 [추적: 스팟 M]으로 설정하여 의도한 선수를 추적하는 것이 좋습니다.
추적 기능이 피사체를 추적하는 동안 얼굴, 눈 등이 검출되면 추적 프레임이 피사체 인식 프레임으로 전환되어 자동으로 얼굴, 눈 등으로 이동합니다.
선수를 추적하는 동안 촬영 프레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다른 선수 및 배경과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촬영할 수 있습니다.
  - [스팟: M]/[확장 스팟]
추적 프레임이 의도한 선수가 아닌 다른 피사체나 물체로 이동하는 경우 [
초점 영역] 설정을 [추적]에서 [스팟: M]으로 또는 [확장 스팟]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[교차용 AF 레벨]을 [3(표준)]으로 설정하면 손이나 폴에 초점이 모일 가능성이 줄어들어 안정적인 추적이 가능합니다.또한 다음의 항목을 참조하십시오.
 
골프
 | 설정 항목 | 설정값 | 
|---|---|
| 초점 모드 | AF-C (연속 AF) | 
| [AF-C 우선순위 설정] | [균형 강조] | 
| [교차용 AF 레벨] | [2] | 
| [속도변화기반 AF추적] | [표준] | 
[ 초점 영역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: 스팟 M] [스팟: M] [확장 스팟]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| [가로/세로AF영역전환] | [AF 포인트만] | 
[ AF 시 피사체 인식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[ 인식 대상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사람] | 
[ 인식 대상] → [사람] → 세부 설정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 전환 범위]: [3(표준)] | 
[ 인식 프레임 표시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- [추적: 스팟 M]
한 선수만 촬영하려면 [
AF 시 피사체 인식]을  [켬]으로 설정하고  [
초점 영역]을 [추적: 스팟 M]으로 설정하여 의도한 선수를 추적하는 것이 좋습니다.
추적 기능이 피사체를 추적하는 동안 얼굴, 눈 등이 검출되면 추적 프레임이 피사체 인식 프레임으로 전환되어 자동으로 얼굴, 눈 등으로 이동합니다.
선수를 추적하는 동안 촬영 프레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다른 선수 및 배경과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촬영할 수 있습니다.
  - [스팟: M]/[확장 스팟]
추적 프레임이 의도한 선수가 아닌 다른 피사체나 물체로 이동하는 경우 [
초점 영역] 설정을 [추적]에서 [스팟: M]으로 또는 [확장 스팟]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[교차용 AF 레벨]을 어느 정도 고정된 설정 [2]으로 설정하면 초점 안정성이 향상됩니다. 모래가 피사체 앞으로 날아다니는 벙커 샷과 같은 장면을 촬영할 때 이 설정을 권장합니다.또한 다음의 항목을 참조하십시오.
 
복싱
| 설정 항목 | 설정값 | 
|---|---|
| 초점 모드 | AF-C (연속 AF) | 
| [AF-C 우선순위 설정] | [균형 강조] | 
| [교차용 AF 레벨] | [3(표준)] | 
| [속도변화기반 AF추적] | [표준] | 
[ 초점 영역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: 스팟 M] [스팟: M] [확장 스팟]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| [가로/세로AF영역전환] | [AF 포인트만] | 
[ AF 시 피사체 인식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[ 인식 대상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사람] | 
[ 인식 대상] → [사람] → 세부 설정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추적 전환 범위]: [3(표준)] | 
[ 인식 프레임 표시]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[켬] | 
- [추적: 스팟 M]
선수가 빠르게 움직이는 스포츠의 경우 [
AF 시 피사체 인식]을  [켬]으로 설정하고  [
초점 영역]을 [추적: 스팟 M]으로 설정하여 의도한 선수를 추적하는 것이 좋습니다.
추적 기능이 피사체를 추적하는 동안 얼굴, 눈 등이 검출되면 추적 프레임이 피사체 인식 프레임으로 전환되어 자동으로 얼굴, 눈 등으로 이동합니다.
선수를 추적하는 동안 촬영 프레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다른 선수 및 배경과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촬영할 수 있습니다.
추적을 시작할 초점 영역 근처에 심판이나 관중 등 선수 이외의 피사체가 있는 경우 정확한 초점 위치를 선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. - [스팟: M]/[확장 스팟]
추적 프레임이 의도한 선수가 아닌 다른 피사체나 물체로 이동하는 경우 [
초점 영역] 설정을 [추적]에서 [스팟: M]으로 또는 [확장 스팟]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가장 다용도 설정은 [
초점 영역]의 경우 [스팟: M]이며 [교차용 AF 레벨]의 경우 [3(표준)]입니다.
선수들 중 한 명에게만 초점을 맞추려면 [
초점 영역]을 스팟 지향 설정 [확장 스팟]으로, [교차용 AF 레벨] 반응성은 어느 정도 고정된 설정 [2]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한 다음의 항목을 참조하십시오.